ballentain 2019. 7. 2. 15:08

 

 

 Tensorflow Object Detection API를 공부하다 protocol buffer라는 처음 보는 용어를 접하게 됐다. 개념 파악을 위해 이곳저곳 살펴보며 공부했던 내용을 짧막하게 정리해보고자 한다.

 

 

Protocol Buffer ?

 

CSV, XML, JSON 등과 같이 여러 직렬화 방식 중 하나로 구글에서 개발한 이진 직렬화 방식

 

 

 

 여기서 직렬화(serialization)는 객체 저장을 위한 데이터 저장 방법이라 생각하면 된다. 저장 뿐 아니라 불러오는 관점에서도 직렬화 (및 역직렬화)는 데이터를 다루는 측면에서 간단하고 효과적이기 때문에 사용되는 것 같다.

 

 

 차이점이라면, Protocol Buffer는 다른 직렬화 방식들과는 다르게 조금 복잡한 흐름을 갖는다. 다음 글에서 실습을 통해 어떤 차이점을 갖는지 살펴보도록 하자.

 

 

 

 

< 참고 사이트 >

https://codedragon.tistory.com/4825

https://oversky.tistory.com/53

https://m.blog.naver.com/PostView.nhn?blogId=yoohee2018&logNo=220724696138&proxyReferer=https%3A%2F%2Fwww.google.com%2F

https://shin6666.tistory.com/entry/%EC%A7%81%EB%A0%AC%ED%99%94serialization

http://woowabros.github.io/experience/2017/10/17/java-serialize.html

https://bcho.tistory.com/tag/protocol%20buffer

https://www.datadoghq.com/blog/engineering/protobuf-parsing-in-python/